경제, 정치? 등등등

세계 1위 배터리 회사가 리튬 생산을 멈췄다?

lusty 2025. 8. 12. 13:10
반응형

이미지 출처: Pixabay


2025년 8월 9일,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 1위인 중국 CATL이 충격적인 발표를 했습니다.
중국 장시성에 있는 대형 리튬 광산의 가동을 최소 3개월 동안 중단한다는 것입니다.
이 광산은 전 세계 리튬 공급량의 **약 3~6%**를 차지할 정도로 규모가 큽니다.

가동 중단의 이유는 단순 고장이나 점검이 아니라, **채굴 허가증(마이닝 라이선스)**이 만료됐기 때문입니다.
광산에서 리튬을 계속 캐려면 정부로부터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그 기간이 끝났고 새 허가를 아직 받지 못한 것입니다.
CATL은 현재 중국 정부와 협의 중이지만, 행정 절차와 심사가 길어져 최소 3개월은 멈춰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정부가 최근 ‘산업 과잉 생산’을 억제하고 자원 개발 관리 규제를 강화하는 흐름도 있어, 이번 재허가 절차는 과거보다 까다로워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 때문에 시장은 단기적인 생산 차질을 넘어 공급 불확실성이 장기화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

리튬이 뭐길래 이렇게 난리일까?


리튬은 전기를 저장하는 충전식 배터리의 핵심 원재료입니다.
대표적인 용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에너지 저장 장치(ESS)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드론 등 소형 전자기기 배터리


배터리 제조 원가에서 원재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40% 이상이며, 이 중 리튬은 가장 중요한 핵심 자원입니다.
리튬이 없으면 전기차도, 스마트폰도, 태블릿도 만들 수 없습니다.

전 세계 전기차 시장은 매년 성장하고 있어, 리튬의 수요는 앞으로도 꾸준히 늘어날 전망입니다.
하지만 공급량이 갑자기 줄어들면 가격이 급격히 오르는 특성이 있습니다.


---

왜 가격이 오르나?


리튬 가격은 **시장에 나오는 양(공급)**과 **필요한 양(수요)**으로 정해집니다.
이번처럼 세계 1위 회사가 리튬 생산을 멈추면 → 시장에 나오는 리튬 양이 줄어듭니다.
그런데 전기차와 배터리 수요는 계속 많으니까 → “리튬이 귀해진다” → 가격이 올라가는 겁니다.

리튬 가격은 시장에서 나오는 양(공급)과 필요한 양(수요)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번처럼 세계 최대 생산자가 3개월간 멈추면 → 시장에 공급되는 리튬 양이 줄어듭니다.
수요는 그대로인데 공급이 줄면, 자연스럽게 가격은 오르게 됩니다.

예를 들어 마트에서 쌀이 평소보다 절반만 들어왔다고 해봅시다.
사려는 사람은 똑같이 많으니, 가격이 올라가는 건 당연합니다.
리튬도 같은 원리로 움직입니다.


---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


한국은 세계적인 2차전지(전기차 배터리) 강국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같은 배터리 제조사뿐 아니라, 양극재·음극재·전해질 등 소재를 만드는 기업도 많습니다.

리튬 가격이 오르면, 리튬을 사서 배터리를 만드는 기업은 원가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리튬을 직접 채굴하거나, 재고를 많이 보유한 기업은 자산 가치가 올라가 이익을 볼 수 있습니다.


---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국내 기업 예시


1. 리튬을 직접 개발·정제하는 회사

포스코홀딩스: 해외 리튬 광산 개발

지오릿에너지: 리튬 정제 기술

코스모신소재: 리튬 관련 소재 생산



2. 배터리 소재 회사

에코프로비엠: 양극재(배터리 핵심 소재) 세계 1위

엘앤에프: 테슬라에도 공급하는 양극재 회사

포스코퓨처엠: 양극재와 음극재 모두 생산



3. 배터리 완성품 제조사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SK온)





---

앞으로 주식시장은 어떻게 될까?


단기(몇 주~몇 달):
리튬 가격이 오를 거란 기대감 때문에, 리튬 관련 주식과 배터리 소재 회사 주가가 오를 가능성이 큽니다.

중기(3개월~1년):
리튬 가격이 계속 비싸면, 배터리 만드는 회사들은 원가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대신 리튬을 확보한 회사는 계속 좋을 수 있습니다.

장기(1년 이후):
전기차 수요가 꾸준히 늘기 때문에, 리튬 시장 자체는 계속 커집니다. 하지만 가격이 너무 오르면 대체 소재 개발이나 공급 확대가 나올 수 있어서 조정이 올 수도 있습니다.



---

투자 시 유의할 점


1. 단기 뉴스에만 기대어 투자하면 위험

이런 뉴스는 주가를 단기적으로 크게 움직일 수 있지만, 나중에 가격이 안정되면 조정이 옵니다.



2. 리튬 확보력이 있는 기업 찾기

리튬을 직접 만들거나, 장기 계약을 맺어 안정적으로 공급받는 회사가 유리합니다.



3. 관련 테마주 변동성 주의

리튬·2차전지 테마주는 뉴스에 따라 급등락이 심합니다.





---

결론

CATL의 리튬 생산 중단은 단순한 중국 내부 이슈가 아닙니다.
전 세계 배터리 공급망과 우리나라 2차전지 산업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사건입니다.
단기적으로는 리튬 가격 상승과 관련 종목의 주가 강세를 기대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공급 정상화와 기술 변화에 따라 흐름이 달라집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무작정 추격 매수하기보다는, 리튬 확보력·기술 경쟁력·고객사 다변화를 갖춘 기업을 선별해 접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