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공부해볼까?

📊 거래량(Volume) 완전 정복 — 초보부터 투자 고수까지 꼭 알아야 할 주식 보조지표

lusty 2025. 8. 12. 12:48
반응형

---


이미지 출처: Pixabay

1. 거래량이란?


거래량은 말 그대로 **주식이 거래된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하루 동안 몇 주가 사고팔렸는지를 보여주며, 차트에서는 보통 막대 그래프로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하루에 삼성전자 주식이 500만 주 거래됐다면, 그날의 거래량은 500만입니다.

주가가 오르거나 내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움직임의 힘(에너지)**을 보여주는 것이 거래량입니다.


---

2. 거래량이 중요한 이유


주가의 방향을 볼 때 거래량을 함께 확인하는 이유는, 거래량이 많을수록 시장 참여자들이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상승장에서 거래량 증가 → 매수세가 강해지고, 상승이 이어질 가능성 ↑

하락장에서 거래량 증가 → 매도세가 강해지고, 하락이 가속될 가능성 ↑


거래량 없이 오르는 주가는 ‘반짝 상승’에 그칠 수 있지만, 거래량이 동반되면 추세가 오래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

3. 거래량의 기본 해석


(1) 거래량 증가

상승 + 거래량 증가 → 강한 매수세

하락 + 거래량 증가 → 강한 매도세


(2) 거래량 감소

상승 + 거래량 감소 → 상승 힘 약화

하락 + 거래량 감소 → 하락세 약화, 반등 가능성


(3) 평소 대비 변화폭

거래량이 평소의 몇 배로 늘어나면, 뉴스·실적·테마 등 큰 이슈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4. 거래량과 주가 패턴


(1) 돌파형 거래량

박스권(횡보 구간) 돌파 시 거래량이 폭발하면, 돌파의 신뢰도가 높습니다.

(2) 바닥형 거래량

긴 하락 뒤 거래량이 급증하며 주가가 반등하면, ‘세력 매집’ 신호일 수 있습니다.

(3) 천장형 거래량

장기간 상승 후 거래량 폭증 + 주가 횡보 또는 하락 → ‘세력 매도’ 신호 가능성.


---

5. 투자 심리와 거래량


거래량은 투자자들의 심리를 그대로 보여줍니다.

거래량 폭증 → 관심 집중, 심리 과열

거래량 감소 → 관심 이탈, 무관심 상태


예를 들어 평소 100만 주 거래되던 종목이 하루에 500만 주 거래됐다면, 뭔가 큰 이벤트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6. 거래량 활용 팁


1. 거래량은 추세 확인 도구

가격만 보지 말고 거래량과 함께 분석하세요.



2. 평균 거래량 비교

20일 평균 거래량 이상 터졌는지 확인하면 의미 있는 움직임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3. 다른 보조지표와 함께

이동평균선, MACD, RSI 등과 조합하면 분석력이 향상됩니다.





---

7. 이해하기 쉬운 비유


거래량은 경기장의 관중 수와 같습니다.

경기가 재미있고 치열하면 관중이 많이 옵니다 → 거래량 증가

경기가 시시하면 관중이 줄어듭니다 → 거래량 감소
관중이 많을수록 경기의 열기도 높아지듯, 거래량이 많을수록 주가 움직임의 힘도 강해집니다.



8. 📊 거래량 분석 — 삼성전자 2025년 7~8월 흐름으로 배우는 투자 포인트

이미지 출처: naver


1. 차트 개요

위 차트는 2025년 7월부터 8월 초까지의 삼성전자 일봉 차트입니다.
가격 흐름과 함께 하단에는 **거래량(Volume)**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거래량 막대는 빨간색(상승일), 파란색(하락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2. 주요 구간 해석

① 7월 중순 이후 거래량 급증

7월 중순부터 거래량이 크게 늘면서 주가가 가파르게 상승했습니다.

이는 강한 매수세 유입을 의미하며, 59,800원에서 74,000원까지 약 19% 상승했습니다.

이런 패턴은 대개 호재 뉴스, 실적 발표, 시장 기대감이 겹칠 때 나타납니다.



---

② 7월 30일 최고점(74,000원)과 거래량

7월 30일 거래량은 1,914만 주로 이전 평균 거래량보다 월등히 많았습니다.

하지만 종가가 고점 대비 하락(-3.38%)하며 마감했습니다.

의미: 매도세가 강하게 유입되며 단기 차익 실현이 일어난 신호일 수 있습니다.



---

③ 8월 초 거래량 감소와 조정

8월 초부터 거래량이 점차 줄어드는 모습입니다.

거래량이 줄면서 주가는 71,500원 → 68,800원으로 조정받았습니다.

이는 단기 매수세가 약화되었음을 의미합니다.



---

3. 거래량 해석 포인트

1. 상승장 거래량 증가 = 매수세 강함, 추세 지속 가능성 ↑


2. 상승장 거래량 감소 = 힘 빠짐, 조정 가능성 ↑


3. 하락장 거래량 증가 = 매도 압력 강함, 하락 가속화 가능성 ↑


4. 하락장 거래량 감소 = 매도세 약화, 반등 가능성 ↑




---

4. 이번 사례에서 배울 점

거래량 폭발 + 주가 급등 → 강한 매수세가 들어온 구간.

거래량 많지만 음봉 마감 → 고점 부근에서 매도세가 강하게 유입된 구간.

거래량 감소 + 조정 → 단기 관망세로 전환된 구간.



---

💡 실전 팁

거래량이 평균 대비 2배 이상 늘어났다면, 그 이유(뉴스, 실적, 테마)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고점 부근에서 거래량이 많고 종가가 밀린다면 단기 조정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9. 마무리


거래량은 단순한 지표지만, 추세의 신뢰도를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돌파 구간이나 바닥·천장 구간에서 거래량을 함께 보면, 매매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거래량 폭증만 보고 매수·매도를 결정하는 것은 위험하니, 반드시 가격 흐름과 다른 지표를 함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