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공부해볼까?

주식을 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재무제표 읽는 법

lusty 2025. 8. 11. 17:48
반응형



이미지 출처: Pixabay


1. 재무제표란 무엇일까요?


학교에서 시험을 보면 성적표가 나오죠?
성적표를 보면 국어, 수학, 영어 점수와 등수가 나옵니다.
이걸로 내가 공부를 잘했는지, 부족한 과목은 무엇인지 알 수 있죠.

회사의 성적표도 있습니다.
그게 바로 재무제표입니다.

재무제표에는 회사가 돈을 얼마나 벌었는지, 어디에 썼는지, 현재 가진 재산과 빚이 얼마인지가 숫자로 기록돼 있습니다.
이걸 보면 그 회사가 건강한 회사인지, 위험한 회사인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

2. 재무제표의 세 가지 핵심


재무제표는 크게 세 가지 표로 나뉩니다.


1. 재무상태표 (Balance Sheet)


특정 시점(예: 2025년 12월 31일 기준)에 회사가 가진 재산과 빚, 그리고 주인(주주)에게 남는 돈이 얼마인지 나타낸 표입니다.

공식:

자산 = 부채 + 자본

여기서 자산은 회사가 가진 모든 것, 부채는 갚아야 할 것, 자본은 주인의 몫입니다.



2. 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


일정 기간(예: 2025년 1월 1일~12월 31일)에 얼마를 벌었고, 얼마를 썼고, 얼마가 남았는지 보여줍니다.

매출, 비용, 이익이 모두 나옵니다.



3. 현금흐름표 (Cash Flow Statement)


돈이 실제로 들어오고 나간 흐름을 보여줍니다.

회계상의 이익과 실제 현금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현금흐름을 보면 회사의 ‘진짜 돈 사정’을 알 수 있습니다.





---

3. 재무상태표 쉽게 이해하기


재무상태표는 하루를 찍어서 보는 재산 목록입니다.

예를 들어,

현금: 500만 원

가게 건물: 1억 원

재고 상품: 300만 원

빚: 2000만 원


자산 합계 = 500만 + 1억 + 300만 = 1억 800만 원
부채 = 2000만 원
자본 = 1억 800만 – 2000만 = 8800만 원

이렇게 계산하면,
“이 회사는 빚이 있지만 재산이 훨씬 많구나”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

4. 손익계산서 쉽게 이해하기


손익계산서는 1년 동안의 장사 결과표입니다.

예시:

매출: 1억 원

재료비: 3000만 원

월세: 1000만 원

인건비: 2000만 원

세금: 500만 원


순이익 = 매출 – 비용 = 1억 – (3000만 + 1000만 + 2000만 + 500만)
= 3500만 원

이걸 보면
“아, 이 가게는 1년에 3500만 원을 벌었구나”라고 알 수 있습니다.


---

5. 현금흐름표 쉽게 이해하기


장사에서 이익이 3500만 원이 났다고 해도,
손님이 외상으로 사 갔다면 당장 손에 들어오는 현금은 적습니다.
또는 건물을 사느라 돈이 나갔을 수도 있죠.

그래서 현금흐름표를 보면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으로 돈이 어떻게 움직였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

6. 자주 나오는 재무 용어 정리


자산: 현금, 건물, 기계, 재고, 받을 돈 등 가치 있는 것

부채: 대출, 외상, 갚아야 할 돈

자본: 자산 – 부채 (회사 주인의 몫)

매출: 물건·서비스 판매 금액

영업이익: 장사해서 남은 돈 (세금·이자 제외)

순이익: 모든 비용·세금 뺀 최종 이익

유동자산: 1년 안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

유동부채: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빚



---

7. 재무 비율로 건강 상태 체크하기


1. 부채비율 = 부채 ÷ 자본 × 100

100% 이하면 안정적이라고 봅니다.



2. 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100

200% 이상이면 단기 갚을 능력이 충분합니다.



3.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 ÷ 매출 × 100

높을수록 장사 효율이 좋습니다.



4. ROE = 순이익 ÷ 자본 × 100

자기 자본 대비 수익률. 10% 이상이면 우수.





---

8. 실제 기업 예시 (단순화)


삼성전자 (가상의 단순 수치)

자산: 450조 원

부채: 100조 원

자본: 350조 원

매출: 300조 원

영업이익: 50조 원

순이익: 40조 원


부채비율 = 100 ÷ 350 × 100 ≈ 28.6% → 매우 안정적
영업이익률 = 50 ÷ 300 × 100 ≈ 16.7% → 효율 좋음


---

9. 재무제표 읽기 순서


1. 재무상태표에서 자산·부채·자본 구조 확인


2. 손익계산서에서 매출·이익 추세 확인


3. 현금흐름표에서 실제 돈 흐름 확인


4. 3~5년치 흐름을 비교해서 안정성 체크




---

10. 초보자가 피해야 할 실수


매출만 보고 투자

단기 실적만 보고 판단

빚이 많아도 성장성만 보고 매수

현금흐름 확인 안 함



---

11. 결론


재무제표는 회사를 평가하는 건강검진표입니다.
처음엔 낯설지만, 구조와 기본 용어만 이해하면 누구나 읽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걸 꾸준히 보면, 뉴스보다 먼저 회사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