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이야기

테슬라 주식공부 자료

lusty 2025. 8. 4. 12:26
반응형

📊 Tesla, Inc. (TSLA) – 주요 재무 및 주가 정보 (2022~2024)

종목명: Tesla, Inc.

티커: TSLA

거래소: NASDAQ

현재 주가: $302.63 (2024.08.01 기준)

After Market: $301.05 (-0.52%)



이미지 출처: naver

📈 10년 주가 차트 요약


장기 추세: 20202023 변동성 장세 → 2024 다소 둔화

고점 대비 조정 이후 반등세 시도 중

성장 기대는 여전하지만 밸류에이션 부담 증가





이미지 출처: naver
이미지 출처: naver







🧮 간단 해석

✅ 강점


매출은 계속 증가세 (2022 → 2023 → 2024)

2023년 순이익 급증 (전년 대비 +19.2%)

ROA 15.85% 유지 → 자산 수익률은 여전히 높음


❌ 약점


PER 지속 상승 (고평가): 94.47 → 144.06

EBITDA/EBIT 감소 추세 → 수익성 저하 중

2024년 예상 순이익 급감 (7,130백만 달러, 전년 대비 -52.5%)

배당 미지급 → 배당 수익 없는 순수 성장주



---

🧠 투자 포인트 요약

구분 평가


성장성 ★★★★★ (고성장 산업, 글로벌 전기차 리더)
수익성 ★★★☆☆ (수익성 정체 및 감소 신호)
밸류에이션 ★★☆☆☆ (과도한 PER, 밸류 부담)
재무 안정성 ★★★★☆ (고 ROA, 이익률 감소 외엔 양호)
배당 매력 ☆☆☆☆☆ (배당 없음)



---

📌 결론: “성장은 인정, 가격은 부담”


테슬라는 장기적으로 전기차 시장 지배력, 에너지 사업 확대, AI 및 로보택시 기술 등에서 뛰어난 잠재력을 지닌 기업이지만, 2024년 기준으로는 다음과 같은 투자 판단 기준이 필요하다.

🚨 단기 실적 둔화 우려: EBIT, EBITDA, ROA 모두 감소 예상

💸 고밸류 종목: PER 144는 실적 정체 시 하락 리스크 큼

🧱 장기 투자자에게는 유효: 기술혁신 및 인프라 기반 기업



---

📍 투자자 조언


단기 매매자: 수익성 둔화 및 고평가 리스크 주의

장기 투자자: 기술 확장성에 베팅 가능, 다만 분할 매수 권장

기술주/AI 관련 포트 구성 시 핵심 비중 고려는 가능

모멘텀 중심 매매자는 추세 확인 후 진입이 안전




워런 버핏은 본질적으로 “지속적 수익성, 경영진의 자본 배분 능력, 경제적 해자, 예측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그리고 내재가치 대비 저평가”에 투자한다. 테슬라(Tesla, TSLA)는 전통적 가치투자 기준에선 이질적인 존재지만, 혁신성과 시장 지배력으로 인해 끊임없이 버핏식 평가의 경계선을 시험하는 기업이기도 하다.


🧠 1. 사업 이해력 – 이해 가능한가?

테슬라는 결코 단순한 기업이 아니다.

기존 사업: 전기차 생산, 에너지 저장장치, 태양광 사업

확장 사업: 완전자율주행(FSD), 로보택시, AI 비서(xAI), 에너지 플랫폼, OTA 소프트웨어 판매

가치사슬: 차량 제조 + 배터리 조립 + AI + OTA 서비스 = 하드웨어+소프트웨어+AI 융합형 기업


❗분석:


테슬라는 이미 단순한 제조업체가 아니라 기술 집약형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 중이며, 전통적 가치투자자의 “이해력” 기준을 벗어나고 있다. 그러나 투자자 스스로 자율주행, AI, 에너지 시장에 대한 이해가 있다면, 테슬라의 전략은 충분히 납득 가능하다.


💸 2. 수익성과 재무지표 – 안정적으로 돈을 벌 수 있는가?


2025년 2분기 실적


매출: 225억 달러 (YoY -12%)

EPS: 0.40달러 (시장 기대치 0.43달러 미달)

차량 인도량: 38.4만대 (YoY -14%)


❗분석:


수익성 급감: 순이익 반토막 예상 (15B → 7B), ROA도 6%대 추락

PER 고공행진: 144배는 밸류에이션 과열 수준

성장 한계 노출: 매출은 제자리인데 수익성 악화는 구조적 경고

예측 가능한 현금흐름이 무너지고 있어 버핏의 투자 시점에서 본다면 위험


🏰 3. 경제적 해자(Moat) – 방어 가능한 경쟁력 있는가?


버핏은 강한 브랜드, 네트워크 효과, 전환비용, 독점적 기술 등을 해자로 본다. 테슬라는 그 모든 해자를 일정 수준 보유 중이다.

테슬라의 해자 요소

항목 해자 평가

브랜드 ★★★★★ (전기차=테슬라, 글로벌 인지도 최상급)
기술력(FSD) ★★★★☆ (경쟁사 대비 가장 앞섬)
AI 연계(xAI) ★★★★☆ (독자 AI 비서 및 자율주행 통합)
규모의 경제 ★★★★☆ (기가팩토리, 가격 경쟁력 있음)
생태계 ★★★★☆ (OTA 업데이트, 로보택시, 에너지 연계)


특히 FSD 완전자율주행과 xAI는 기존 자동차 기업이 흉내 낼 수 없는 경쟁력이다.


---

👨‍💼 4. 경영진의 자본 배분 능력


버핏은 경영진이 이익을 어디에 투자하고 어떻게 써왔는지를 매우 중요하게 평가한다. 일론 머스크는 역사상 가장 혁신적인 CEO 중 한 명이지만, 버핏의 기준에선 과감하고 위험한 베팅을 반복하는 CEO다.

경영진에 대한 양면적 평가

항목 평가


혁신적 R&D 투자 ✅ 긍정 (FSD, 로보택시, xAI 등 미래성장)
무배당 전략 ❌ 보수적 투자자 입장에선 불리
신사업 도전성 ⚠️ 위험 감수형 (xAI, 뇌-기계 인터페이스 등)
정치적 행보(신당 창당 등) ⚠️ 투자자 신뢰에 부정적일 수도 있음


즉, 미래를 개척하는 비전형적 CEO이자, 버핏이 선호하는 유형의 예측 가능한 관리자형 CEO는 아님.


---

📉 5. 주가 vs 내재가치 – 지금 저평가인가?

현재 주가: 302.63달러 (2024.08.01 기준)
EPS(2025 예상): 1.60달러
PER(예상): 144배

고평가의 핵심

실적 감소에도 주가는 300달러 이상 유지

미래 AI/로보택시 수익을 대폭 선반영 중

자동차 업체 PER 평균이 10~20배 수준임을 고려하면, 이는 엄청난 프리미엄


내재가치 추정

전통적인 DCF나 EPV 방식으로 평가할 경우, 현재 주가는 합리적이라고 보기 어려움

현재 수익성 기준으로는 내재가치보다 2~3배 높게 거래되고 있음

단, xAI/FSD 상용화가 가시화되면 이 밸류는 다시 재평가될 수 있음



---

📦 종합 평가

🔚 결론: "위대한 기업, 나쁜 가격"

항목 평가 설명


이해 가능한 사업 ⚠️ 복잡한 구조, AI+차량+에너지 통합 모델
지속 가능한 수익 ❌ 단기 수익성 악화, 실적 급감
경제적 해자 ✅ 브랜드, AI, 생태계 강점
경영진 역량 ⚠️ 매우 비전 있는 CEO이나 불확실성 큼
주가 저평가 여부 ❌ 고평가, 미래 기대치 과다 반영



---


테슬라는 엄청난 기술적 리더십과 해자를 가진 위대한 기업이다.
하지만 현재 주가는 버핏 기준에서의 안전마진이 전혀 없다.

“훌륭한 기업이라도 너무 비싼 가격에 사면 좋은 투자가 아니다.” – 워런 버핏



✅ 투자 고려 대상 (다만 전제 조건 있음):


xAI와 로보택시가 현금흐름을 창출하는 시점에 재평가 가능성 매우 높음

단기 수익성은 악화 중 → 이 구간에서는 하락 리스크 매우 큼

장기 성장성에 확신이 있고, 시장 변동성을 견딜 수 있는 투자자라면 분할 매수 고려 가능



---

✅ 전략 제안

투자자 성향 전략


가치투자자 지금은 대기, 저평가 구간에서만 진입
성장투자자 미래 성장 확신 있다면 분할 매수 가능
단기투자자 고밸류 리스크 존재, 실적 확인 후 매매



---

버핏이라면?


"비전은 인상적이다. 하지만 나는 가격을 본다."
지금의 테슬라는 좋은 기업이지만, 싸지 않다.
인내하고 기다리는 것. 그게 가치투자의 본질이다.

728x90